맨위로가기

콜린 워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린 워드는 영국의 아나키스트, 작가, 교육자, 건축 평론가였다. 그는 1924년 에식스주 원스티드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전쟁 후에는 건축가로 일하며 프리덤 프레스와 프리덤, 아나키 등 아나키즘 관련 잡지의 편집자로 활동했다. 또한, 도시 및 국가 계획 협회 교육 담당자를 역임하며 교육, 건축,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펼쳤다. 워드는 아나키즘을 기반으로 주택, 교육, 사회 조직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으며, 저서 《도시 속의 아이》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신문 편집자 - 크리스 하먼
    크리스 하먼은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사회주의 운동가로서, 사회주의 노동자당에서 활동하며 《사회주의 노동자》와 《국제 사회주의 저널》의 편집장을 역임했고, 자본주의 비판, 계급 투쟁 분석, 사회주의 이론 등을 다룬 저술을 남겼다.
  • 영국의 신문 편집자 - 리베카 브룩스
    리베카 브룩스는 영국의 언론인으로, 주요 언론사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적 활동에도 참여했지만, 언론 윤리 논쟁에 휘말리기도 했다.
  • 영국의 아나키스트 - 윌리엄 블레이크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영국의 낭만주의 예술가 윌리엄 블레이크는 시, 그림, 판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으며,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불의에 대한 비판, 그리고 상상력과 개인의 자유를 강조한 작품들로 낭만주의를 넘어 현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아나키스트 - 레미 킬미스터
    레미 킬미스터는 잉글랜드 출신의 록 음악가로, 모터헤드의 창립 멤버이자 리더로서 40년간 활동하며 특유의 록앤롤 스타일을 구축하여 격동적인 록 씬 속에서도 변함없이 사랑받고 모든 세대 뮤지션들에게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잉글랜드의 아나키스트 - 윌리엄 고드윈
    윌리엄 고드윈은 영국의 정치 철학자, 소설가, 저널리스트로서 무정부주의와 공리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대표작 『정치적 정의에 관한 탐구』를 통해 근대 무정부주의 사상의 초석을 놓았고, 이성과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며 정부와 강제적 권력을 비판했으며, 소설 『캘럽 윌리엄스』로 사회 제도와 권력의 부조리를 고발했고, 작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남편이자 메리 셸리의 아버지이다.
  • 잉글랜드의 아나키스트 - 윌리엄 블레이크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영국의 낭만주의 예술가 윌리엄 블레이크는 시, 그림, 판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으며,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불의에 대한 비판, 그리고 상상력과 개인의 자유를 강조한 작품들로 낭만주의를 넘어 현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콜린 워드
기본 정보
2003년 작업실의 콜린 워드
이름콜린 워드
출생일1924년 8월 14일
출생지완스테드, 에식스, 잉글랜드
사망일2010년 2월 11일
교육일포드 카운티 고등학교
가넷 칼리지
직업작가
편집자
주요 작품행동하는 아나키즘(1973)
사상아나키즘
배우자해리엇 언윈(1966년)
파트너베라 밸푸어 (1963년 사망)

2. 생애

콜린 워드는 에식스주 원스티드(Wanstead영어)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영국군에 복무했다. 전후 아나키즘 신문 《프리덤》과 잡지 《아나키》 편집자로 활동했다. 건축가이자 교육자로서 도시 계획과 아동 문제에 대한 저술을 남겼으며, 《도시 속의 아이》(The Child In The City, 1978)가 대표적이다.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교수, 앵글리아 러스킨 대학교 명예 박사 등 학문적 업적도 쌓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콜린 워드는 1924년 에식스주 원스티드(Wanstead영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아놀드는 교사였고, 어머니 루비는 사무직원이었다. 그의 부모는 노동당 지지자였다.[3] 워드는 일퍼드 카운티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건축업자 조수로 일했으며, 웨스트햄 의회에서 일하다가 시드니 콜필드(Sidney Caulfield)의 건축 사무소에서 제도사로 일했다.[3]

2. 2. 군 복무와 아나키즘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에 징집되어 사퍼(sapper)로 복무했으며, 이후 왕립 공병대(Royal Engineers)에서 제도사로 일했다.[3] 글래스고에 주둔했던 워드는 글래스고 무정부주의자 그룹 행사에 참석하기 시작했다. 군인 신분으로 반전주의(Antimilitarism) 무정부주의 신문인 ''전쟁 논평(War Commentary)''을 구독했고, 1945년에는 해당 신문의 편집자 존 휴에트슨(John Hewetson), 버논 리차드스(Vernon Richards), 필립 샘슨(Philip Sansom)의 재판에 검찰 측 증인으로 출석했다.[1][4] 재판 직후 오크니로 전속되었다.[3]

2. 3. 저술 및 편집 활동

제2차 세계 대전영국군으로 참전했던 워드는 1947년부터 1960년까지 영국 아나키즘 신문인 《프리덤(Freedom)》의 편집자로 활동했다.[1] 1961년부터 1970년까지는 월간 아나키 저널인 《아나키(Anarchy)》의 창립자이자 편집자였다.[5]

2. 4. 건축 및 교육 분야 활동

워드는 건축가이자 교육자로 활동했다. 1952년부터 1961년까지 건축가로 일했으며, 1964년에는 가넷 칼리지(Garnett College)에서 교사 훈련을 받았다.[3] 1971년, 도시 및 국가 계획 협회(Town and Country Planning Association)의 교육 담당자가 되어 교육, 건축, 도시 계획 분야의 저술 활동을 했다. 1978년에 출간한 《도시 속의 아이(The Child in the City)》는 아동의 거리 문화를 다룬 그의 대표적인 저서이다.[6]

1995년부터 1996년까지 런던 정경대학교(London School of Economics) 주택 및 사회 정책 센테니얼 교수를 역임했고,[6] 2001년에는 앵글리아 러스킨 대학교(Anglia Ruskin University)에서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7]

3. 사상

콜린 워드는 주택, 인구 과잉, 계획 규제 문제 등에 대해 아나키즘적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월터 세갈(Walter Segal)의 '스스로 집 짓기' 운동에 감명을 받아, 집 없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오두막집 거주자와 무단 거주자》(Cotters and Squatters)에서 웨일스의 전통 주거 방식인 공유지에 세운 '하룻밤 집'(Tŷ unnos)을 소개하며 대안을 모색했다. 표트르 크로폿킨에게서도 영향을 받았는데, 크로폿킨은 19세기 말 서리와 서식스의 텅 비고 풀이 무성한 광경을 보며 "오두막집, 과수원은 버려졌고, 사람들은 떠나갔다"고 썼다. 워드는 현재도 누군가는 땅이 넘치지만 누군가는 집을 지을 땅도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행정구마다 사람들에게 집 지을 곳을 주고 엉성해 보이는 주거용 구조물도 건축물로 인정하는 대안을 제시했다.[8][9][10][11] 그는 아나키즘, 교육, 주택 및 토지 문제에 대한 관점을 제시했다.

3. 1. 아나키즘

워드는 권위주의적인 사회 조직 형태를 제거하고 자치적이며 비계층적인 형태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는 "작은 대면 집단에서는 조직 내에 내재된 관료주의적이고 계층적인 경향이 발전할 기회가 가장 적다"는 원칙에 기반한다.[8]

워드에게 아나키즘은 "일상생활의 경험에 뿌리를 둔 인간 조직 방식에 대한 묘사로,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권위주의적 경향과 나란히,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동한다".[9] 그는 "모든 모습의 아나키즘은 인간의 존엄성과 책임에 대한 주장"이며, "정치적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사회적 자기 결정의 행위"라고 주장했다.[10]

3. 2. 교육

콜린 워드는 그의 주요 이론서 《무정부 상태의 실천》(1973)의 "더 이상 학교가 아닌"이라는 장에서 교육과 학교 교육의 계보를 논하며, 특히 에버렛 라이머와 이반 일리치의 저술과 무정부주의 교육자 폴 굿맨의 신념을 검토했다. 1970년대 워드의 많은 저술, 특히 앤서니 피슨과 공저한 《거리 작업: 폭발하는 학교》(1973)는 학교 건물 외부의 학습 관행과 공간에 초점을 맞추었다. 워드는 《거리 작업》 서문에서 "이 책은 환경을 교육 자원으로 보는 관점, 탐구하는 학교, 벽 없는 학교…와 같은 개념에 관한 책"이라고 썼다. 같은 해 워드는 피터 버크먼이 편집한 《학교 없는 교육》에 기고하여 '국가의 역할'을 논했다. 그는 "세계의 국가 교육 시스템에서 국가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영속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1]

《도시 속의 아이》(1978)와 후속 저서 《시골 속의 아이》(1988)에서 워드는 젊은이들의 삶의 일상 공간과 그들이 자신이 거주하는 다양한 환경을 어떻게 협상하고 재해석하는지를 조사했다. 이 중 더 유명한 초기 저서에서 콜린 워드는 아이들의 창의성과 독창성, 그리고 그들이 '도시를 작동하게 만드는 기술'을 어떻게 배양하는지 탐구했다. 그는 놀이, 적용, 상상을 통해 아이들이 성인 중심적인 의도와 건축 환경에 대한 해석에 맞설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의 후속 저서인 《시골 속의 아이》는 여러 사회과학자들, 특히 지리학자 크리스 필로(1992)에게 영감을 주어 사회에서 '숨겨진' 소외된 집단으로서 젊은이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촉구로 이어졌다.[11]

3. 3. 주택 및 토지 문제

그는 주택, 인구 과잉, 계획 규제 문제 등을 다루면서 아나키즘적 대안을 제시했다. 월터 세갈의 '스스로 집 짓기' 운동에 감명을 받아, 집 없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오두막집 거주자와 무단 거주자》(Cotters and Squatters)에서 웨일스의 전통 주거 방식인 공유지에 세운 '하룻밤 집'(Tŷ unnos)을 소개하며 대안을 모색했다. 과거의 아나키스트 표트르 크로폿킨에게도 영향을 받았는데, 크로폿킨은 19세기 말 서리와 서식스의 텅 비고 풀이 무성한 광경을 보며 "오두막집, 과수원은 버려졌고, 사람들은 떠나갔다"고 썼다. 워드는 현재도 누군가는 땅이 넘치지만 누군가는 집을 지을 땅도 없다는 것을 지적하며, 행정구마다 사람들에게 집 지을 곳을 주고 엉성해 보이는 주거용 구조물도 건축물로 인정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4. 저서

콜린 워드의 저서 목록
연도제목비고
1970폭력 (Violence)
1972 (Work)
1973행동하는 무정부주의 (Anarchy in Action)
1973거리에서의 활동: 폭발하는 학교 (Streetwork: The Exploding School)Anthony Fyson|앤서니 파이슨영어 공저
1973반달리즘 (Vandalism)편집
1974유토피아 (Utopia)
1974세입자들이 장악하다 (Tenants Take Over)
1976영국 학교 건물: 1964-74년 설계 및 평가 (British School Buildings: Designs and Appraisals 1964–74)
1976주택: 무정부주의적 접근 (Housing: An Anarchist Approach)
1978도시 속의 아이 (The Child in the City)
1982예술과 건축 환경 (Art and the Built Environment)Eileen Adams|아일린 애덤스영어 공저
1984모두를 위한 아르카디아: 임시 풍경의 유산 (Arcadia for All: The Legacy of a Makeshift Landscape)Dennis Hardy|데니스 하디영어 공저
1984주택은 절도다, 주택은 자유다 (Housing is Theft, Housing is Freedom)
1985소작농들 (The Plotlanders)Dennis Hardy|데니스 하디영어 공저
1985다시 건설할 때: 제대로 작동하는 주택을 갖자! (When We Build Again: Let's Have Housing that Works!)
1986잘 자요, 캠퍼 여러분! 영국 휴양 캠프의 역사 (Goodnight Campers! The History of the British Holiday Camp)Dennis Hardy|데니스 하디영어 공저
1986샤르트르: 기적의 창조 (Chartres: the Making of a Miracle)
1987무정부주의 10년 (1961-1970) (A Decade of Anarchy (1961–1970))편집
1988시골의 아이 (The Child in the Country)
1988텃밭: 그 풍경과 문화 (The Allotment: Its Landscape and Culture)David Crouch|데이비드 크라우치영어 공저
1989환영합니다, 더 얇아진 도시: 1990년대 도시 생존 (Welcome, Thinner City: Urban Survival in the 1990s)
1989중앙선을 무너뜨리다 (Undermining the Central Line)Ruth Rendell|루스 렌델영어 공저
1990말하는 집들: 10개의 강연 (Talking Houses: 10 Lectures)
1991옛 엽서 속의 어린 시절 이미지 (Images of Childhood In Old Postcards)Tim Ward|팀 워드영어 공저
1991영향: 창의적 반항의 목소리 (Influences: Voices of Creative Dissent)
1991갈 자유: 자동차 시대 이후 (Freedom to Go: After the Motor Age)
1993새 도시, 고향 (New Town, Home Town)
1995말하는 학교 (Talking Schools)
1996사회 정책: 무정부주의적 반응 (Social Policy: An Anarchist Response)
1996건축가들과 이야기하다 (Talking to Architects)
1997우표: 무정부주의 우표 디자인 (Stamps: Designs For Anarchist Postage Stamps)Clifford Harper|클리퍼드 하퍼영어 그림
1997피난처와 발판: 맥락 속의 포이에 운동 (Havens and Springboards: The Foyer Movement in Context)
1997물에 비친: 사회적 책임의 위기 (Reflected in Water: A Crisis of Social Responsibility)
1998사교적인 도시들: 에비니저 하워드의 유산 (Sociable Cities: The Legacy of Ebenezer Howard)Peter Hall|피터 홀영어 공저
2002소작농과 무단 점거자: 주택의 숨겨진 역사 (Cotters and Squatters: Housing's Hidden History)
2003무정부주의에 관하여 이야기하다 (Talking Anarchy)David Goodway|데이비드 굿웨이영어 공저
2004아나키즘, 대안의 상상력 (Anarc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김정아 옮김, 돌베개, 2004
2011자치, 연대, 가능성: 콜린 와드 독자 (Autonomy, Solidarity, Possibility: The Colin Ward Reader)Damian F. White|데미안 F. 화이트영어와 Chris Wilbert|크리스 윌버트영어 편집
2012녹색에 관하여 이야기하다 (Talking Green)


5.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Colin Ward영어의 사상은 대한민국 사회, 특히 진보 진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서 《아나키즘, 대안의 상상력》[1]은 김정아에 의해 한국어로 번역되어 2004년 돌베개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 아나키즘 사상을 소개하고, 교육 운동, 주거 운동,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Colin Ward영어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참조

[1] 뉴스 Colin War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2-22
[2] 웹사이트 Colin Ward – an obituary and appreciation of the chuckling anarchist http://outrospection[...] 2010-02-27
[3] 서적 Colin Ward and the Art of Everyday Anarchy Routledge
[4] 논문 Anarchism and the British Warfare State: The Prosecution of the War Commentary Anarchists, 1945 2015
[5] 웹사이트 Anglia Ruskin University http://www.anglia.ac[...] 2008-07-13
[6] 웹사이트 The Times & The Sunday Times https://www.thetimes[...]
[7] 웹사이트 Anglia Ruskin University, profile http://www.anglia.ac[...] 2008-07-13
[8] 서적 Anarchism as a Theory of Organization
[9] 서적 Anarchism as a Theory of Organization Freedom Press
[10] 서적 Anarchism as a Theory of Organization Freedom Press
[11] 웹사이트 Colin Ward: The ‘Gentle’ Anarchist and Informal Education http://www.infed.org[...]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